표 1. STROBE Statement—checklist of items that should be included in reports of observational studies

No 권고사항
제목, 초록 1 (a) 제목 또는 초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하여 연구 설계를 제시한다.(b) 초록에 수행된 연구와 발견한 내용에 대한 유익하고 균형 잡힌 요약을 제공한다.
서론
 배경/정당성 2 연구의 과학적 배경과 근거를 제시한다.
 목적 3 사전 설정한 가설을 포함해서 연구목적을 제시한다.
방법
 연구디자인 4 논문 초반부에 연구 설계의 핵심 요소를 제시한다.
 세팅 5 연구 환경, 장소와 주요 일시(모집, 노출측정, 추적관찰, 자료 수집기간 등을 포함)를 제시한다.
 참여자 6 (a) 코호트연구—포함기준과 대상자참여자 선정방법을 제시한다.환자대조군연구—포함기준과 환자 확인과 대조군 선정 방법을 제시한다. 환자와 대조군 선택의 정당성을 제시한다.단면연구—포함기준과 참여자 선정방법을 제시한다.(b) 코호트연구—짝지은 연구(matched studies)의 경우 짝짓기 기준과 노출군과 비노출군의 수를 제시한다환자대조군연구—짝지은 연구의 경우 짝짓기 기준과 환자군 당 대조군의 수를 제시한다.
 변수 7 모든 결과, 노출, 예측인자(predictors), 잠재적 교란요인(potential confounders) 및 효과변경인자(effect mdoifiers)를 명확히 정의한다. 해당되는 경우 진단 기준을 제시한다.
 자료원/측정 8* 개별 변수에 대해, 자료원과 평가(측정) 방법을 제시한다. 두 군 이상이 있으면 평가방법의 비교성에 대해 기술한다.
 바이어스 9 잠재적 바이어스(bias)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기술한다.
 연구규모 10 연구규모(study size)가 어떻게 결정되었는지 설명한다.
 양적 변수 11 분석에서 양적변수(quantitative variales)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설명한다. 그룹화한 경우, 그 이유와 방법을 기술한다.
 통계적 방법 12 (a) 교란 통제 방법(control for confounding)을 포함한 모든 통계분석 방법을 기술한다.(b) 하위그룹과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데 사용한 모든 방법을 기술한다.(c) 결측치(missing data)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기술한다.(d) 코호트연구—추적 실패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기술한다.환자대조군연구—환자군과 대조군의 짝짓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단면연구—해당되는 경우, 표본 추출 전략을 고려한 분석방법을 기술한다.(e) 모든 민감도(sensitivity) 분석에 대해 기술한다.
결과
 참여자 13* (a) 각 단계별 인원수를 보고한다. – 잠재적 적격자 수, 적격기준을 평가한 수, 적격 확인된 수, 연구 포함된 수, 추적 완료자 수, 분석자 수(b) 각 단계에서 제외된 이유를 밝힌다.(c) 흐름도(flow diagram) 사용을 고려한다.
 자료기술 14* (a)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인구학적, 임상적, 사회적), 노출변수 및 잠재적 교란변수에 대한 정보를 제시한다.(b) 관심 변수별 자료가 결측된 사람 수를 제시한다.(c) 코호트연구—추적관찰시간 정보를 요약한다(평균, 총관찰기간).
 결과자료 15* 코호트연구—시간에 따른 결과 발생 수 혹은 요약 정보를 제시한다.환자대조군연구—노출 범주별 수 혹은 요약 정보를 제시한다.단면연구—결과 발생 수 혹은 요약정보를 제시한다.
 주요 결과 16 (a) 보정하지 않은 추정치(unadjusted estimate)를 제시한다. 해당되는 경우, 교란변수를 보정한 추정치와 그 정밀도(precision, 예, 95% 신뢰구간)를 제시한다. 보정한 교란변수들과 선택한 이유를 밝힌다.(b) 연속변수(continuous variables)를 범주화 했으면 범주의 범위(category boundaries)를 제시한다.(c) 적절하다면, 상대위험도(relative risk)를 의미 있는 기간 동안의 절대위험도(absolute risk)로 변환하는 것을 고려한다.
 기타 분석 17 하위그룹 및 상호작용 분석과 민감도 분석 등 기타 수행된 분석을 보고한다.
고찰
 주요 결과 18 연구 목적에 비추어 주요 결과를 요약한다.
 제한점 19 잠재적 바이어스나 오류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연구의 제한점을 고찰한다. 잠재적 바이어스에 대해서는 그 방향성과 크기에 대해서도 고찰한다.
 해석 20 연구목적, 제한점, 유사한 연구 결과와 다른 관련 근거들을 고려하여 결과에 대한 신중한 전반적 해석을 제시한다.
 일반화가능성 21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generalizability, 외적타당도[external validity])에 대해 고찰한다.
다른 정보
 자금원 22 본 연구의 연구비 출처와 연구비 제공자의 역할을 보고한다. 해당되는 경우, 본 논문이 기반한 원래 연구에 대해서도 설명한다.